공유지도 + 직행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시도 그리고 지도
프로젝트 소개
커뮤니티 맵핑 : 지역 구성원들이 함께 사회문화나 지역의 이슈와 같은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현장에서 수집한 후, 지도로 만들어 공유하고 이용하는 과정. 특히 기존에는 구하기 힘들지만 누군가에게는 꼭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정보소외 문제 해결 방법 중 하나로 쓰이고 있습니다.
- 프로젝트 기간 : 2015년 3월 - 4월
- 프로젝트명: 커뮤니티 맵핑 시스템 구축
- 프로젝트 기간 : 2015년 3월 - 4월
- 프로젝트명: 커뮤니티 맵핑 시스템 구축
- LAUNCH 2015년 5월
- CLIENT 대전공유지도 팀
- 공유지도 LINK http://dsmap.kr/
- 직행 LINK http://jikhaeng.kr/
고객사 인터뷰
-
textsms커뮤니티 맵핑 활동을 위한 맵핑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
textsms등록개수에 제한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존 사용 맵핑 서비스의 제한으로 활동이 어려움 )
-
textsms웹, 모바일 모두에서 보기 편리하도록 반응형웹으로 만들어주세요.
-
textsms맵핑 할 때 범례, 문항의 종류, 개수를 가능한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어야합니다.
핵심 과제
배리어프리 커뮤니티 맵핑 시스템 구축
성공적인 커뮤니티 맵핑의 핵심은 맵핑원들이 수집한 정보를 의도대로, 충분하게 담아내어 정보의 질을 높이는 것에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한계없이 원하는대로 정보를 기록 할 수 있는, 즉 맵핑 설정을 최대한 자유롭게 수정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했습니다. 공유지도를 만든 후엔 그 경험을 토대로, 위즈온 또한 정보소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사 맵핑 시스템 ‘직행’을 제작하였습니다. 다양한 주제를 대전시, 사단법인 토닥토닥 등 다양한 기관 및 단체와 함께 맵핑하여 현재 5개의 주제(전동휠체어충전소, 무장애여행지, 장애아동병원, 대전지하철역승강기정보, 휠체어진입가능 카페 및 식당 정보)의 지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능설명과 관계없음, 커버용사진(각각 메인화면 캡쳐 2개)
직행은 특징을 보여줄 수 있는 주요 화면 세가지로 캡쳐함.

공유지도

직행 - 메뉴

직행 - 지도화면

직행 - 지도화면 상세정보
맵핑에 한계는 없다 (아래 사진캡쳐 3개 관련)
현장에서 수집한 정보를 지도에 기록할 때, 지도 주제에 맞게 맵핑원들이 마음대로 범례 수, 범례 이름, 입력칸 등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도록 설계했습니다. 기존 맵핑 서비스와 달리 등록 수에 제한을 두지 않았습니다. 또한 지도 밑에 주소를 입력하거나, 현재위치표시를 누르면 위치를 아이콘이 자동표시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편리하게 정확한 장소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지도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정보가 질적양적으로 모두 충분히 담긴 지도를 만드는데 시스템이 방해되지 않도록 유연한 제작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했습니다.

범례설정

맵핑 등록페이지

내 위치 표시
좋은 건 같이 봐야지
가장 중요한 지도 홍보 및 효율적인 제공을 위해, 소스코드. 페이스북. 트위터에 오른쪽 상단의 아이콘 클릭 만으로도 쉽게 지도를 공유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공유하기
원하는 정보에 따라 변신
얻고자 하는 정보에 따라 정보표시의 방법이 달라야 보기 편리하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예를 들면 지역별 정보 밀집도를 확인하고 싶을 땐 맵 형태가, 원하는 키워드가 담긴 정보를 찾고 싶을 땐 검색이 편리한 목록형이 유용합니다. 맵핑에 기록한 정보를 정보제공자, 사용자 모두 지도형 혹은 목록형으로 필요에 따라 폼을 선택하여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지도형태

목록형태